도서관

소리소문없다. _Schubert : Piano Trio N° 2, II.

애도가 2014. 1. 11. 21:17




자네는 그들이 주장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는가? 

내가 젊었을 때, 나는 ‘있지 않은 것’을 아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했다네. 

그러나 지금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해 아주 당혹스러워 하고 있지 않은가


우리가 일상적인 삶 속에서 만나는 세계를 분석 대상으로 삼으라는 것이다.





모두 오랫동안 지위를 유지해온 저명한 시온주의자인 유대인 지도층 인사들과 그의 첫 개인적인 접촉은 매우 만족스러웠다. 그가 유대인 문제에 그렇게 매혹된 이유는 그 자신의 이상주의 때문이었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가 언제나 멸시한 동화론자들이나 그를 지루하게 만든 정통ㅍ파 유대인들과는 달리 이 유대인은 그와같은 이상주의자 였다. 아이히만의 생각에 따르면 이상주의자란 단지 어떤 이상을 신봉하거나, 또는 도둑질하거나 뇌물을 받지않는 사람만을 의미하는것은 아니었다. 물론 이러한 조건은 필수 불가결하기도하다. 

이상주의자란 자신의 이상을 삶을 통해 실천한 사람이었고 따라서 사업가 같은 사람은 아니었음. 

자신의 이상을 위해서라면 어떤것, 특히 어떤 사람이라도 희생시킬 각오가 된 사람이었다. 

필요하다면 자신의 아버지 마저도 죽음으로 보냈을것이라고 경찰심문에서 말했을때, 그는 자신이 어느정도로 강력한 명령을 받고 있었는지만을 말하려 한것이 아니었다.

그는 자신이 얼마나 이상주의자로서 살아왔는가를 보여주려 한것이다.

완벽한 이상주의자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당연히 개인적인 느낌과 감정을 지니고 있지만, 만일 그것이 그의 이상과 충돌하게 된다면 그것이 그의 행동을 방해하도록 결코 용납하지 않았을 것이다. 아이히만이 만난 가장 위대한 이상주의자는 그가 헝가리에서 유대인 추방을 협상한 루돌프 카스트너박사였다. 

믿기어려운일이지만 영혼을 판 자도 이상주의자였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